
퀄컴이 새로운 차세대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8 Gen 1 을 공개 했습니다. 이름을 왜 이렇게 지었는지.... 여튼 이 칩셋은 기존 스냅드래곤 888 에 비해서 훨씬 강력하고 빠른 CPU와 GPU를 지원하면서 전력 소비는 낮을 것으로 보여 성능개선에 큰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스냅드래곤 8 Gen 1 은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스냅드래곤 898을 말합니다. 이름이 바뀌었죠. 이번에는 4나노 공정으로 만들어져 성능과 전력소비면에서 개선이 뚜렷해 보입니다. 그리고 확실히 기존 스냅드래곤888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다음은 개선되는 기능 목록 입니다.
- Cortex-X2 코어가 있는 최대 3GHz Kryo CPU.
- 30% 빨라진 Adreno GPU와 25% 낮은 전력 소비.
- 10기가비트 다운로드 속도에 도달한 세계 최초의 X65 5G 모뎀.
- 모바일용 최초의 18비트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 모바일용 최초의 8K HDR10+ 비디오 캡처.
- 메가 저조도 캡처는 30개의 이미지를 스냅하고 최고의 부분을 한 번에 병합합니다.
- 빠른 얼굴 잠금 해제 및 잠금을 위한 Always-On ISP.
- 음성 분석을 위한 7세대 Qualcomm AI 엔진 및 Leica Leitz Look 보케 필터.
- 게임을 위한 방송, 스테레오 녹음 및 음성 백 채널과 같은 Bluetooth 저에너지 오디오 기능.
- 디지털 자동차 키 또는 운전 면허증의 새로운 표준인 Android Ready Secure
- Element를 지원하는 최초의 플랫폼입니다.

주목할만한 점은 30% 빨라지고 25% 낮아진 전력 소비의 아드레노 GPU 입니다. 이정도 성능이라면 갤럭시S22에 엑시노스가 탑재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 아쉬워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히려 이전과 비슷하게 엑시노스와 스냅드래곤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특히 이번 아드레노의 프레임 모션 엔진을 사용하면 동일한 전력을 사용하면서 두 배의 프레임 속도로 게임을 렌더링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기존과 동일한 속도에서는 전력을 절반으로 줄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다음은 스냅드래곤 8 Gen 1 과 다른 제품의 비교 표 입니다.

위의 비교표를 보면 확실히 차이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많은 기능이 추가되면서 이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제조 업체들은 많은 기능들을 활용하기 위해서 일이 많아질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은 4나노 공정을 이용해서 전력 소비면에서 이득을 얻었다는 점이고 여유있는 공간을 이용해서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성능을 개선했다는 것 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아직까지 구체적인 벤치마크 성능이나 발열에 관련한 실 사용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는 점 입니다. 퀄컴이 발표한 스냅드래곤 8 Gen 1 에 대한 것은 좋은 면만 발표한 것이기 때문에 단점에 대해서는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기존 제품들도 발표전에는 모두 세계 최강의 제품 처럼 선전을 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4나노로 개선된 미세공정과 같은 성능에서 더 낮은 전력효율을 보이기 때문에 발열 문제는 기존에 비해서 조금은 해결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여튼 이번 발표에 있어서 멀티미디어적인 부분이나 5G 속도의 개선 등의 다양한 기능 추가는 스냅드래곤 8 Gen 1 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은 사실 입니다. 하지만 미디어텍의 Dimensity 9000 등 과의 성능이나 기능 비교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애플의 A15 바이오닉 칩셋의 비교는 사실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같은 안드로이드 폰에 사용되는 제품의 비교가 필요하겠죠.
미디어텍이나 퀄컴의 프로세서를 보니 4나노 공정에 성능이나 기능면에서 크게 발전되어 보이는 것은 사실 입니다. 이는 애플의 A15 바이오닉 칩셋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기존 보다 더 큰 개선이 필요한 것을 인식한 것 같습니다. 스냅드래곤888이나 엑시노스2100의 성능이 A15바이오닉의 저전력모드보다도 성능이 떨어진다는 기사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스냅드래곤은 이름만 빼면 단점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A15 바이오닉 칩을 한세대 만에 쉽게 뛰어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그래도 미디어텍의 Dimensity 9000 이나 이번 스냅드래곤 8 Gen 1, 그리고 엑시노스 2200까지 다양한 칩셋들이 기존에 비해 뛰어난 개선점을 보이고 있는 것 같고 애플의 칩셋보다 한 발 빠르게 4나노 공정으로 옮긴 것은 큰 장점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실질적인 성능과 발열 문제가 해결이 되었고 비싼 가격이 발목을 잡지 않는다면 이번 스냅드래곤 8 Gen 1 은 다양한 안드로이드 플래그쉽 스마트폰에 사용될 것 입니다. 이미 삼성의 갤럭시S22에는 사용 될 것이라는 소식이 이미 기정 사실화 되었고 우리가 알고 있는 샤오미, 오포, 모토롤라 등 많은 안드로이드 제조 업체가 이 칩셋을 사용할 것 입니다.

스냅드래곤888 까지는 많이 아쉬웠지만 이번에는 이름만 아쉬운 스냅드래곤 8 Gen 1 이 뛰어난 성능과 발열 관리로 다시한 번 왕좌를 찾아올지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애플의 A15 바이오닉 칩셋과의 비교도 기대가 됩니다.
'IT.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아이폰 시장 점유율 2021년 4분기 23% 달성 예상 (0) | 2021.12.02 |
---|---|
3분기 유럽 태블릿 PC 출하량, 아이패드만 증가 (0) | 2021.12.02 |
반투명의 희귀한 에어팟(Airpods) 프로토타입 공개 (2) | 2021.12.01 |
새로운 아이폰 SE 내년 1분기 출시 할까? (2) | 2021.12.01 |
트위터 CEO, 잭 도시 물러나다 (0) | 2021.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