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아이폰13 제품군이 발표가 되고 성능에 대해서 말이 많았는데 A15바이오닉칩에서 기본적으로 10~15%의 성능 향상과 아이폰13프로의 경우 5 GPU코어의 파워로 인해서 그래픽적 향상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A14와 A15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고 알려지기도 했는데요. 피씨매거진에서 이에 대한 벤치마크를 테스트하고 자료를 공개 했습니다.
A15는 현재 모바일 시장에서 가장 빠른 모바일 칩이지만 GPU 코어를 제외하면 이전에 비해서 기대하는 만큼의 큰 성능 향상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피씨매거진에서는 이에 대한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재미있는 것은 삼성의 갤럭시S21울트라 기종을 넣어서 아이폰XR부터 아이폰11, 12까지 테스트를 진행 했습니다. 그런데 확실히 성능 차이가 있기는 있으며 아이폰13이 역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본 성능에서 당연히 아이폰13 제품군의 성능이 제일 좋게 나왔습니다. 멀티코어를 제외하고는 아이폰11, 12의 차이가 엄청 크지는 않습니다. 멀티코어에서는 아이폰XR이 가장 낮은 성능을 보였지만 나머지는 갤럭시S21울트라가 제일 낮은 성능을 보여 아이폰XR보다도 떨어지는 면을 보인 것이 놀라울 정도네요.

GPU 성능을 보면 5GPU코어를 장착하고 있는 아이폰13프로의 성능이 제일 좋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이폰XR의 성능도 그리 나쁜 것은 아니지만 아이폰13프로는 거의 3배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GFXBench 게임 벤치마크를 활용하면 아이폰13프로는 갤럭시S21 울트라보다 두배 이상 높은 프레임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아이폰XR도 갤럭시S21울트라 보다도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아이폰11의 성능이 굉장히 좋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발열로 인한 쓰로틀링 때문에 아이폰12의 성능이 떨어져서 아이폰11보다 떨어지게 나오는 것이라고 하네요. 발열에서는 아이폰11이 좋은 효과를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웹브라우징 벤치마크에서도 갤럭시S21울트라가 가장 낮은 성능을 보여줬으며 이 부분에서는 시리즈 순서대로 성능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12와 아이폰13과의 차이도 25% 정도 나오고 있는 것을 보면 아이폰12와 13의 CPU 차이가 크게 없다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위의 결과만 보면 쓰로틀링의 문제도 중요하지만 애플의 이벤트에서 주장하는 것 처럼 퀄컴의 스냅드래곤은 애플의 2년 또는 3년전 프로세서도 능가하지 못하는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 다소 좀 충격 적인 결과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폰의 세대별 성능 차이를 보면 아이폰XR에서 11사이가 굉장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에 비해 아이폰12에서 13의 차이는 크지 않는 것으로 나오고 있는데 이는 A15바이오닉칩이 A14와 동일한 5나노 공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고 성능보다는 전력 효율에 집중 했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위의 벤치마크 결과를 보면 스냅드래곤은 아직 갈길이 먼 것 같고 삼성이 엑시노스 2200을 성공적으로 내놓는다고 해도 지금의 차이를 쉽게 따라잡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엑시노스 2200이 GPU성능이 좋을 것이라는 소식도 조금씩 들려오고 있지만 엑시노스2100와 같은 실패를 하지 않으려면 발열에 대한 문제도 신경을 써야할 것 입니다.

그리고 아이폰13과 아이폰13프로 사이 간에 GPU 성능이 굉장히 눈에 띄는데 1개의 GPU코어 차이가 이렇게 크게 난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대략 30% 정도의 성능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기존 세대의 아이폰 성능을 GPU 로 눌러버리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이폰13 제품군도 발열 문제를 피할 수는 없기 때문에 쓰로틀링에 의한 성능저하나 어느정도의 발열 체크가 되는지 충분한 테스트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얼마전 고효율코어만으로도 스냅드래곤 최상위 제품들의 성능을 능가한다는 소식도 나왔었기 때문에 이번 아이폰13 제품군은 성능면으로는 전혀 부족한 면이 없으리라 생각이 됩니다.

여튼 이번 벤치마크는 다른 곳에서 진행한 것 보다 좀 더 자세한 벤치마크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아이폰13 제품라인을 구매하실 분들이나 가격이 저렴해진 이전 제품을 구매하려는 분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그나저나 정말 퀄컴이나 삼성은 좀 더 분발해야 할 것 같습니다.
'IT.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13 디스플레이 사설 수리시 페이스ID 작동 중지 (1) | 2021.09.27 |
---|---|
아이폰13프로 홍조 현상 및 아이패드미니6 잴리스크롤 현상 등 (1) | 2021.09.27 |
일부 아이폰13 사용자들은 애플워치 잠금해제 기능 사용불가 외 애플 뮤직 버그 등 (0) | 2021.09.26 |
아이폰13 프로 : 매크로 사진 촬영 방법. (1) | 2021.09.26 |
아이폰13 프로 맥스 내구성 테스트 (1) | 202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