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Fixit 은 지난 번 아이폰13프로 분해에서 아이폰13이나 아이폰13프로의 디스플레이를 교체하게 되면 페이스ID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언급했습니다. 따라서 아이폰13 기종에서 디스플레이가 파손되거나 고장났을 때에 개인적으로 부품을 구해서 수리를 하거나 사설 업체에 수리를 맡기게 되면 동일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했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그것에 대해서 다시 한 번 확인을 했습니다.

iFixit 은 이번에 다시 아이폰13 기종의 디스플레이 교체 문제에 대해서 언급을 하면서 좀 더 명확한 이유에 대해서 알렸습니다. 문제는 아이폰13을 디스플레이에 페어링하는 소형 마이크로 컨트롤러라고 합니다. 디스플레이 수리를 위해서 교체를 한 후에는 Apple Services Toolkit 2를 사용하여 애플 클라우드 서비스에 수리를 기록하고 아이폰과 디스플레이의 일련 번호를 동기화 해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이폰을 소유하고 있는 개인이나 사설 수리업체에서는 새 화면을 아이폰13에 페어링할 수 있는 도구가 없다고 합니다. 당연하겠죠. 전 Apple Services Toolkit 2라는 것이 있는 것도 오늘 알았는데요. 여튼 이러한 이유로 아이폰13과 디스플레이를 페어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애플 공인 서비스 센터에서 수리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부 수리점에서는 해결 방법을 찾기도 했지만 굉장히 어렵다고 합니다. 즉 원래 페어링 된 납땜된 칩을 문제 없이 분리해서 교체품으로 옮기는 방법으로는 가능하다고 하네요. iFixit 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수리는 일반 사설업체에서 굉장히 많이 수리를 하게 되고 상당한 수익을 차지하기 때문에 애플이 이를 막기 위해서 조치한 이러한 대응 방식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처리 방식으로 인해서 소규모 수리업체들은 폐쇄할수도 있고 새 장비를 위해서 수천 달러를 지출해야만 할 것이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사실 애플은 이전에 TouchID, Tur Tone 기능 및 아이폰12 카메라에 대해서 유사한 전례가 있었기 때문에 이번 사례 역시 애플이 고의적으로 사설업체에서 수리를 못하게 하기 위한 장치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인이 부품을 구입해서 수리를 못하게 하기위한 것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이폰12에서도 처음에 정품이 아닌 부품을 사용했을 때에 비활성화하게 했었지만 이를 비활성화하지 않는다는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을 했다고 하네요. 이 문제 역시 향후 업데이트를 통해서 유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그게 가능할지, 아니면 언제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합니다.

따라서 애플케어가 없다면 디스플레이의 수리비는 아이폰13 모델의 경우 229~329 달러 이상이 들 수 있기 때문에 절대 떨어뜨리지 말라고 주의를 주었습니다.

애플은 이전에 사설업체에서 더 많이 수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하겠다고 약속을 했었지만 어찌된 일인지 새로운 제품이 나올 때마다 이런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것은 애플의 고가의 수리비 때문에 사설 업체를 찾거나 스스로 수리를 원하는 소비자 또는 DIY를 통해서 다양한 시도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치명적인 부분일 수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일을 하고 있는 다양한 애플 생태계의 사람들과 상생할 것 처럼 얘기를 하지만 정작 이런 작은 부분에서부터도 수리를 어렵게 만들어서 독점적인 영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앱스토어 인앱결제강요 금지 처럼 이전에 나왔던 소비자들의 올바른 수리권 보장법 같은 법안이 통과가 되어야 이런 답답하고 불편한 뉴스들을 피할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기는 합니다. 애플은 초창기 1984 광고를 통해 IBM과 같은 독점적인 빅브라더에 대항하는 것을 추구한다 밝혔지만 지금은 애플자체가 그런 빅브라더가 되어서 모든 것을 애플독점하게 두려고 하는 것이 아닌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IT.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프로세서 3D Mark GPU 성능 (0) | 2021.11.07 |
---|---|
애플, M1 Pro 및 M1 Max 맥북 프로 HDR 유투브 재생시 충돌 (0) | 2021.11.06 |
인텔 M1 Max보다 빠른 데스크탑용 Intel Alder Lake 칩 공개. (0) | 2021.11.06 |
퀄컴, 스냅드래곤898 벤치마크 (0) | 2021.11.06 |
삼성, 갤럭시 S22 실물 유출~! (0) | 2021.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