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모바일

리눅스(Linux) M1 Mac 기본 지원

몬트리올푸틴 2021. 10. 8. 11:47
728x90

애플 실리콘 M1 맥이 작년에 출시를 하고 나서 리눅스를 애플 실리콘 맥에 이식하려는 움직음은 꾸준히 있었습니다. 그리고 거의 6월 말 쯤에는 리눅스 커널이 애플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1년이 지난 지금 이제 리눅스를 위한 기본 데스크탑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9월 아사히(Asahi) 리눅스는 애플 실리콘이 장착된 맥에서 아주 잘 돌아가고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아직까지는 GPU 드라이버 개발의 부족으로 그래픽 가속에 대한 부분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M1 의 CPU 성능이 매우 강력하여 하드웨어 가속이 있는 Rockchip ARM64 머신보다 소프트웨어 렌더링이 실제로 더 빠르다고 합니다.

아직까지 하드웨어적인 드라이버 개발은 완벽하지는 않지만 애플은 세대 간에 하드웨어 인터페이스가 호환되도록 유지를 하고 있기 때문에 M1 에서 잘 운영되는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개발을 한다면 앞으로 출시될 새로운 칩셋에서도 변경 없이 동작할 수 있다고 합니다.

블로그 게시물에 따르면 이 리눅스 개발팀은 M1X/M2 칩이출시될 때까지 기다려야 최신 칩에서 리눅스를 부팅하기에 충분한 드라이버를 호환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픽 하드웨어 가속이나 제대로 돌리기 위한 드라이버 개발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개발이 될 것이며 제대로된 드라이버가 개발되면 정말로 놀라운 성능을 발휘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아직까지는 리눅스를 위한 완벽한 드라이버가 인스톨러가 개발이 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제 애플 실리콘을 기본 데스크탑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의 커널 이식이나 기본드라이버들이 개발이 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수 개월내에 제대로된 리눅스 인스톨러가 나와서 애플실리콘 맥 제품에서도 손 쉽게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번 개발이 되면 이후의 새로운 M1X나 M2 에서도 쉽게 이식이 가능하게 개발이 진행 될 것 같습니다.

리눅스가 애플 실리콘 맥에서 완벽하게 이식이 된다면 애플 실리콘 맥이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해지고 좀 더 대중화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