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아이폰13에 디스플레이터치ID를 추가할것이다 아니다 말이 많습니다. 지금까지 애플이 사용한 터치ID는 기존 아이폰5부터 이어져온 버튼식 터치아이디와 이번 아이패드 에어4세대에 적용된 버튼식 터치 ID가 전부 입니다. 그리고 이후의 아이폰에는 모두 얼굴을 3D로 인식을 하는 페이스ID만 사용이 되어왔습니다.
바클레이즈의 애널리스트, 블룸버그,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몇개월 동안 애플이 아이폰13에 디스플레이터치ID를 사용할 것이라고 소식을 전해왔습니다. 하지만 유명 애플 애널리스트 밍치궈는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소식에는 채택할 것 같다는 소식이었죠.

퀄컴은 기존 기술보다 50% 빠르고 77% 커진 디스플레이터치ID 센서를 새로 출시했고 이는 최신 삼성의 갤럭시S21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빠르고 안정적이지만 솔직히 애플의 페이스ID만큼 빠르지도 않고 보안성도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디스플레이터치ID는 삼성 갤럭시 시리즈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어온 인증 방법 중 하나이고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지만 그동안 여러가지 인식 오류 등의 보고도 있었습니다.

사실 처음 대중적으로 스마트폰에 지문인식 기능을 넣은 것은 제 기억으로는 아이폰5서부터 애플이 사용했었지만 아이폰8 이후에 페이스ID로 바꾸어 버렸죠. 아이폰SE2까지 이어지고 있는 버튼형 지문인식 기능은 지금도 굉장히 빠르고 편리합니다.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폰은 페이스ID도 가능하지만 디스플레이터치ID도 가능하게 되어있습니다. 지문인식은 사실 그에대한 자료가 많은 국내기술이 최고라고 합니다.
아이패드에어4세대에 있는 버튼형 터치ID는 기존에 있었던 홈버튼 터치ID보다 편리하거나 실용적이지는 못합니다.

지금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이 시대에 아이폰에 페이스ID를 없앨 필요는 없지만 삼성과 같이 터치아이디 기술을 같이 넣어주는 것은 당연시 여겨지고 그 방법은 디스플레이터치ID가 가장 좋은 선택이라 생각을 합니다. 물론 애플워치를 이용한 잠금해제 기능이 이번에 추가 됐지만 문제는 모두 애플워치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애플이 최종적으로 이 기술을 채택할지는 자세히 모르겠지만 지금의 마스크를 쓰고다녀야 하는 상황이 1~2년 안에 해결 될 것 같지는 않기 때문에 채택하지 않는다면 오만일수도 있고 채택한다면 나름 올바른 선택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런 기능은 무조건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IT.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TVOS 14.5와 홈팟 14.5 베타 4 출시 (0) | 2021.03.16 |
---|---|
애플 iOS/iPadOS14.5, WatchOS7.4, MacOSBigSur 11.3 베타4 출시 (0) | 2021.03.16 |
애플 실리콘 포토샵 인텔기반 보다 50% 뛰어난 성능보여 (0) | 2021.03.14 |
애플, 아이폰12 내구성을 홍보 (0) | 2021.03.14 |
애플 홈팟 단종 (0) |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