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모바일

미국 식품의약국(FDA) 아이폰12의 MagSafe 심장박동기 간섭 위험은 낮다고 말함.

몬트리올푸틴 2021. 5. 16. 09:35
728x90

지난해 아이폰12의 발매 후에 미시간주 의사 3명은 아이폰12에 장착되어있는 MagSafe충전 장치가 의료기에 자기 간섭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인공심장을 장착하고 있는 사람들은 위험할 수 있다는 경고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고가 있었던 이유는 아이폰에 장착된 MagSafe가 자석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충전장치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부착되어있는 강력한 자석에 의해서 생명과 직결되어있는 민감한 의료기기의 동작에 이상을 유발 할 수 있다는 의심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자체 실험에서 신형 휴대전화, 스마트워치, 기타 자석이 장착된 전자제품이 심박조율기, 이식성 제세동기 등 이식된 의료기기의 정상 작동에 일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위험은 낮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이 문제와 관련된 어떠한 부작용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FDA는 이식된 의료기기가 있는 환자에게 다음과 같은 예방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 특정 휴대 전화나 스마트 시계와 같은 전자제품을 이식된 의료기기에서 6인치떨어진 곳에 보관
- 의료기기 위로 전자제품을 주머니에 넣고 다지니 말것
- 전자제품과 이식된 의료기기의 자석에 대한 문의는 의료서비스 제공업체에 문의

FDA의 주의사항은 애플이 공유한 가이드라인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애플은 고객에게 아이폰과 MagSafe 액세서리를 의료기기에서 6인치 이상 떨어진 곳에 보관하거나 아이폰이 무선으로 충전되는 경우 12인치 이상 간격을 유지하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은 의사 및 기기 제조업체와 상의해야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저도 왼쪽에 포켓이 있는 티를 입는 경우에 핸드폰을 자주 넣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듭니다. 근처에 있을 때에 바로 기기가 멈추거나 하지는 않지만 계속 위치하고 있거나 영향을 받게 되면 어느날 갑자기 멈추거나 비이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이런 주의를 주는 것은 결과적으로는 문제가 있다는 것 아닌가 합니다.

FDA의 위와 같은 발표는 위험은 없지만 조심하라는 의미로 볼 수 있겠지만 솔직히 직접적인 영향을 없더라도 꾸준한 노출로 인해서 기기의 고장을 일으키거나 순간적인 이상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조심은 해야할 것 같습니다.

한마디로 문제는 있지만 문제있다고 하면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으니 문제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문제는 없지만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조심은 하시기 바랍니다라는 것이죠. 무슨말인지..-__-;;

여튼 제 주위에는 이런 장치를 하신분들이 없긴 하지만 주변에 이런분들이 계시면 꼭 아이폰과 같은 제품이 아니라 하더라도 전자렌지나 무선 충전장치 등의 강력한 전자파가 발생할 수 있는 제품들은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을 해주셔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