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미국의 특허청을 통해 새로운 혈압측정 방법의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
이 특허에서는 Seismocardiogram(SCG) 센서를 통해 입력된 값을 신경망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보통 이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 전자타투를 사용하는데(e-tattoo) 전자타투를 이용하여 심전도보다 더 정확한 값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애플의 특허에서는 전자타투를 이용하는 것 같지는 않고 SCG 센서를 워치에 특화시켜서 심전도 값을 가져오는게 아닌가 합니다.

좀 더 정확한 값을 위해서 SCG센서와 신경망을 이용하여 정확한 혈압측정을 하는게 아닌가 생각이 드는데 특허만으로는 명확하게 이러한 기술이 나왔다라고는 단정지을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도 가능하다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물론 갤럭시워치에는 이미 혈압측정 기능이 들어가 있는데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혈압측정과는 다른 방식이기 때문에 꾸준히 체크를 하여 평균값을 만들고 이를 통해서 대략적인 값을 구하는 것이라 이 특허와는 다른 방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혈압과 심전도는 다른 부분이기 때문에 기존에 심전도 기능이 있다하더라도 혈류의 압력을 측정하는 혈압과는 다릅니다.
그런데 걱정되는 것은 이전 루머에는 갤럭시 워치와 애플워치 차기작에는 혈당 측정이 들어간다고 했는데 이러한 소식으로 혈당측정 기술은 빠지게 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이러한 특허는 나오자마자 바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혈당측정과는 무관하고 이후에 차기나 차차기 버전에서 들어갈 수도 있으며 아예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염두해둬야 할 것 입니다.


사람의 몸은 많은 부분을 확인하고 증상을 봐야 아프다 아니다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마트워치는 의료기구가 아닌 건강보조 기능이 들어간 전자시계이기 때문에 스마트워치의 기능을 100% 신뢰하는 것 보다는 수시로 참조하는 것이 좋은 사용법이라 생각이 듭니다. 여튼 애플워치에 지금까지 나온 기능들이 다 들어간다면 자기몸관리를 하는데 있어서는 정말 편리해지고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IT.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아이폰 iOS 14.5, iPadOS 14.5 업데이트 (0) | 2021.04.27 |
---|---|
아이패드 프로 12.9인치 5월 21일, 11인치 5월 22일 출시 예정 (0) | 2021.04.27 |
애플, 아이폰의 방수방진 문제로 소송 (0) | 2021.04.27 |
iOS14.5 다운로드 가능 시기 (0) | 2021.04.26 |
M1 맥의 안드로이드 에물 성능이 엑시노스, 스냅드래곤 능가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