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냅드래곤8Gen1 긱벤치 및 게이밍 성능

스냅드래곤8Gen1 을 사용하는 실 제품들에 대한 성능지표가 나오고 있습니다. 우선 스냅드래곤8Gen1 을 사용하는 공개된 제품으로 알려진 것은 모토롤라의 엣지 X30 입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샤오미12프로에 대한 정보들이 나오고 있네요. 여튼 이러한 제품들을 통해서 스냅드래곤8Gen1 의 성능을 알 수 있고 앞으로 내년 2월 중에 출시 예정인 갤럭시S22 시리즈에 대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샤오미12프로는 아직 정확하게 디자인 등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 등이 유출되기는 했습니다. 뭐 디자인이나 기능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는 이 제품에서 사용하는 스냅드래곤8Gen1 의 성능이 가장 관심이 많이 가겠죠. 우선 공개된 긱벤치 점수 입니다.

우선 공개된 긱벤치 점수를 보면 싱글과 멀티는 기존보다는 좋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멀티 점수가 더 개선되어 보이지만 엄청난 향상은 아니고 적절한 성능향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여러번의 테스트도 거의 비슷한 점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정도 성능이면 무엇을 하더라도 큰 무리 없이 스마트폰에서 작업을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그리고 샤오미12프로에서 주목해야할 점이 방열판이라고 유출된 사진이 있습니다. 이게 정말 내부 방열판 사진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맞다면 사이즈가 상당해 보입니다. 역시 스냅드래곤8Gen1 이 발열이 있기는 한 것 같습니다. 발열만 제대로 잡을 수 있다면 더 큰 방열판을 사용할 수도 있겠죠.
그리고 트위터 Golden Reviewer 는 원신 게임을 통해서 스냅드래곤8Gen1을 사용하는 모토롤라 엣지 X30의 성능을 테스트 했습니다.



이 테스트에서 15%의 성능향상이 있으며 GPU에 있어서는 애플의 A15 바이오닉에 근접하다고 평가를 내렸네요. 실망스러운 부분도 있지만 그래도 돌아가는 게임을 보면 나름 준수한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유질력이 나쁘지 않으며 쓰로틀링 이후에는 불안정해지지만 그것은 모든 스마트폰의 공통점이죠.

처음에는 상당히 안정적으로 돌아갑니다.

이후 쓰로틀링 시에는 역시 들쭉날쭉이죠.

전체적으로 보면 꽤 준수 합니다. 냉각팬이나 선풍기를 틀고 게임을 하면 충분히 커버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고 스냅드래곤8Gen1 의 GPU 성능이 이전 세대에 비해서 꽤 좋아진 것을 생각하면 1세대 만에 이런 개선을 보여줬다는 것은 굉장히 인상적이라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그 동안 잘 할 수 있었으면서 일부러 그런 것인가요?

다만 테스트 후의 후면 온도는 그리 낮지는 않습니다. 이 정도면 뜨끈에서 뜨거운 중간정도 되겠군요.

이번 긱벤치나 게임의 프레임 테스트 결과를 보면 이제 안드로이드에서도 GPU 성능 딸린다라는 얘기는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싱글과 멀티코어의 성능은 기대보다는 못하지만 나쁜 것이 아닙니다. 굉장히 좋은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발전 속도라면 앞으로 1~2년 이내에 애플과 비슷하게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대략적으로 갤럭시S22 시리즈의 성능을 알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 말빨로 최고가 아니라 성능면에서 애플과 비교해도 비빌 수 있을 정도는 충분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문제는 이전에 비해서 얼마나 발열관리를 잘해주느냐가 아닐까 합니다. 베이퍼채임버를 사용하여 발열을 잡는다는 루머도 있지만 어떤 것을 사용하던 관리만 잘해주면되죠. 카톡 좀 사용하거나 카메라 촬영중에 발열로 갑자기 꺼지는 등의 문제만 생기지 않는다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더 큰 배터리를 사용하면서도 더 짧은 사용시간을 보여주는 것 또한 개선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제대로 성능이 나와주고 발열관리와 배터리 관리가 잘 되어서 폴더블로 나온다면 이전보다 더욱 완벽한 폴더블 폰이 만들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많이 접는다고 좋은 폰은 아니듯이 기존 처럼 한번만 제대로 접어도 충분하니 기본기가 잘 갖추어져 있는 제품으로 출시되어서 갤럭시S22에서 폴더블까지 이번에는 쭈욱 잘 나가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