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모바일

애플, AR/VR 혼합현실 헤드셋. 높은 대역폭과 낮은 대기 시간 위한 Wi-Fi 6E 지원.

몬트리올푸틴 2021. 11. 1. 19:05
728x90

유명 애플 애널리스트 밍치궈가 애플의 AR/VR 혼합현실 헤드셋에 대한 또 다른 내용을 전했습니다. 마크거먼과 주고니 받거니 하는 것 같은데요. 이번 소식은 높은 대역폭과 낮은 대기 시간을 위해 WiFi6E를 지원할 것이라는 것 입니다.

예전 밍치궈는 복잡한 디자인으로 인해 생산이 지연될 것이라고 예상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생산은 2022년 4분기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었죠. 이전 소식에 있었던 마크거먼의 주장과 비슷합니다. 4분기 생산이라면 빠르면 출시가 가능하고 그렇지 않으면 연기 될 수 있다는 것이죠.

현재 혼합현실 해드셋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유선으로 연결이 된다는 것 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애플은 WiFi 6/6E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네요.

Wi-Fi 6는 IEEE의. 802.11ax 기술에 부여된 마케팅 이름입니다. 이는 모바일, Capacity, 사물인터넷(IoT)에 최적화된 최신 기술의 WiFi입니다.
Wi-Fi 5보다 더욱 개선되고 모바일과 사물인터넷에 더욱 최적화 되었으며 Low Latency 등 최근 필요로하는 요소를 갖고 있는 Wi-Fi 규격 입니다. Wi-Fi 6는 아이폰11 부터 아이폰에는 적용이 되었고 아이패드 에어와 아이패드 프로에도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텔 맥은 지원이 안돼며 맥에서는 애플실리콘을 탑재한 맥이 Wi-Fi 6를 지원합니다.

Wi-Fi 6E는 Wi-Fi 6 보다 더 빠른 대역폭과 속도를 지원하며 아쉽게도 아이폰13에서 Wi-Fi 6E 를 지원할 것이라는 소식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지원을 하고 있지 않고 Wi-Fi 6만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여튼 밍치궈는 혼합현실 해드셋은 고해상도 컨텐츠와 짧은 대기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 많은 대역폭이 필요로 하고 이를 위해서는 Wi-Fi 6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Wi-Fi 6지원을 수용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합니다. 참고로 메타(구 페이스북)의 오큘러스가 Wi-Fi 5에서 90Hz, Wi-Fi 6에서는 120Hz까지 스트리밍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애플의 혼합현실 해드셋도 120Hz 스트리밍을 위해서는 Wi-Fi 6 규격의 지원이 필수라는 것 입니다.

또한 애플 뿐 아니라 메타 및 소니도 2022년에 Wi-Fi 6/6E가 내장된 새로운 AR/VR 해드셋 장치를 출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기업이 무선 경험을 더욱 향상시키고 컴퓨터나 별도의 장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서 혼합현실 해드셋에 5G mmWave 를 채택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메타(구 페이스북)은 이미 오큘러스를 만들어서 꾸준히 판매를 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내년에도 개선된 제품을 판매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명을 메타로 바꾸면서 메타버스에 올인하겠다고 선언한 만큼 더욱 개선된 오큘러스가 필요로 할 것 입니다.

소니 역시 예전부터 PS VR 제품을 통해서 VR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VR게임을 플레이스테이션과 PS VR을 통해서 즐길 수 있으며 게임콘솔 중에서는 가장많은 보급률을 자랑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PS5 가 출시를 해서 없어서 못 팔 지경으로 인기가 많기 때문에 개선된 PS VR을 내년에 출시할 것이라는 것은 대부분 플스 유저들이라면 예상하고 있을 것 입니다.

그런데 어제 오늘 소식만 따져도 애플의 혼합현실 해드셋은 고급칩, 고급센서, 8K디스플레이, Wi-Fi 6 지원까지 매우 고가의 프리미엄 해드셋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루머로만 따르면 애플은 첫 제품을 내놓으면서 최고의 제품을 내놓으려고 하는 것 같은데 그게 가능할지, 그리고 3,000달러 대의 높은 가격대의 프리미엄 제품을 내놓는다면 그렇게 내놔야하는 것도 당연합니다.

그리고 걱정되는 것이 8K 정도의 실시간 데이타를 다양한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무선 규격인 Wi-Fi 6 정도로만 해서 끊김이나 문제 없이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느냐 입니다. 그리고 M1 Max 와 같은 고성능의 칩과 8K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그리고 이것들을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을 해드셋 사이즈와 모양으로 쉽게 만들 수 있느냐와 무선으로 동작되어 배터리까지 탑재까지 하고 그 무게는 어떻게 할 것인지 입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에 애플 글래스의 가장 큰 문제점은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애플의 혼합현실 해드셋 역시도 디자인이 큰 문제가 될 것 입니다. 이런 것을 원래 잘하던 업체가 애플이기는 하지만 지금까지 나온 기능들을 다 포함하고 어떤 디자인으로 어떻게 나올지 참 궁금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