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S21 울트라 카메라 달고리즘 사용하며 아이폰과 비교

삼성이 달고리즘을 이용하여 아이폰과의 카메라를 비교하는 광고를 공개 했습니다.
갤럭시S21 울트라의 스페이스 줌 기능을 광고하는 영상인데 여기에서 달 촬영 비교를 하는 영상이 달고리즘 영상이죠.
2가지 광고를 공개 했는데 하나는 달 촬영 영상, 또 하나는 햄버거 근접촬영 영상 입니다.
햄버거 촬영 영상이야 그렇다고 하지만 달 촬영 영상은 좀 말이 많습니다.

뭐 갤럭시S21 울트라의 10배 줌 기능은 솔직히 굉장히 뛰어납니다. 디지털이 아니라 광학줌을 이용하기 때문에 아이폰이나 다른 제품의 카메라에 비해서 망원렌즈로 당겨오는 이미지가 굉장히 선명하고 좋죠. 그래서 멀이 있는 사물을 찍을 때에 굉장히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서 새와 같은 동물을 촬영할 때에 근처에 가지 않고도 멀이서 조심스럽게 고활질로 촬영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아이폰12 프로나 프로맥스는 2배 또는 2.5배의 광학줌만 지원하기 때문에 10배줌을 지원하는 갤럭시에 비해서는 망원렌즈 사용시 3배 이상에서는 화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사진 촬영에 대해서는 망원렌즈로 인해서 멀리 있는 사진을 촬영할 경우 갤럭시가 뛰어날 수 밖에 없으며 초 근접촬영도 지원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아이폰보다 뛰어난 것은 사실입니다. 동영상에서는 좀 문제가 보이며 아이폰이 뛰어나기는 하지만 여전히 애플에서는 삼성보다 떨어지는 망원렌즈 줌 비율로 인해서 사진촬영에 있어서는 삼성의 갤럭시S21울트라 쪽에 손을 들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사진에 있어서는 망원과 근접이 뛰어난 갤럭시S21 울트라의 활용도가 조금 더 좋다고 생각하는데 이번 광고에서 달고리즘에 대한 것을 사용한 것은 좀 놀랬습니다. 솔직히 갤럭시의 달촬영은 순수한 렌즈에서 촬영이 되는 것이 아니라 AI를 통한 보정과 합성을 통해 자연스럽게 보이게 만든 달고리즘 샷이기 때문입니다. 달고리즘이라는 밝히고 이런 기능을 홍보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큰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이런 기능이야 있으면 당연히 좋죠. 하지만 순수하게 렌즈의 기능으로 촬영되는 것 처럼 보이는 광고는 소비자를 속이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서 달이 아니라 멀리 있는 달 정도는 아니더라도 망원렌즈가 커버할 수 이상의 거리에 있는 사물을 촬영할 경우에는 저렇게 선명하게 찍히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달만큼 거리에 있는 사물을 촬영할 때에도 저렇게 나올까요? 좀 이번 광고에서 달고리즘을 실질적인 촬영인 것 처럼 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을 합니다.

달고리즘 문제는 이미 갤럭시S21이 출시됐을 때 한번 논란이 됐었고 이전 기종에도 달고리즘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 때 삼성에서는 합성은 아니고 AI에 의해서 보정 된 것이다라는 식으로 얘기를 했는데요. 말만 다른 것이지 AI를 이용한 합성입니다.
예전에도 언급을 했지만 개인적으로 이런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적극적인 찬성입니다. 얼마나 좋습니까. 실제로 렌즈의 성능으로만 저런 달을 찍으려면 돈도 많이 들고 기술도 좋아야 합니다. 저는 아이폰도 저런 달고리즘 기술이 들어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저런 멋진 달을 스마트폰으로 찍는 것은 정말 기분 좋은 체험이니까요. 하지만 사실을 좀 외곡하면서 알리는 것은 반대 입니다. 이런 기술은 그냥 대놓고 알려도 욕먹지도 않고 소비자들이 이상하게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사실대로 알리는 것이 소프트웨어 적인 기술력을 보여주는 좋은 방법이 아닐까요?

오래전 부터 달 사진을 멋지게 나오게 찍는 것은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는 대부분 사람들의 소망 중 하나였습니다. 장비도 장비고 돈도 들고 연습도 많이 해야하는데 이제는 이런 AI 기술로 스마트폰으로 쉽게 찍을 수 있게 되어서 개인적으로는 정말 좋습니다. 그리고 최신 폰이 아니라 하더라도 날씨만 좋다면 달고리즘 정도는 아니지만 괜찮은 정도로 사진이 찍힙니다.
아래 사진은 아이폰8으로 찍은 어두워 지기전에 찍은 달 사진입니다.
최고는 아니지만 나름 개인적인 사진 중에는 잘 나온 달 사진입니다. 제가 사진을 잘 찍고 하는 편도 아니고 기술도 없고 그냥 대놓고 똑딱이 처럼 찍는 스타일이라....


어떤 방식으로라도 사진 이미지가 멋지게 촬영되는 것은 찬성입니다. 그리고 최신 스마트폰들은 사진 보정부터 다양한 방면에서 보정이 이루어입니다. 하지만 보정 수준 이상의 기능들에 대해서는 제대로 소비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고 봅니다.
카메라 부분에서 굉장한 발전을 보여주고 있는 삼성이고 좋은 이미지 센서도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카메라 관련해서 좋은 제품을 만들 것이라 확신합니다. 그리고 애플도 삼성의 이미지 센서나 잠망경 렌즈를 빨리 도입해서 아이폰에서도 강력한 줌 기능이 탑재되기를 바랍니다. 서로 경쟁해 가면서 멋진 제품 꾸준히 만들어주기를 바랍니다.
다음은 해당 광고 유투브 동영상입니다.
달고리즘 영상
햄버거 영상